체조선수 류성현 키 나이 고향 김한솔 허웅 이준호 프로필 수상 일정
카테고리 없음
체조선수 류성현 키 나이 고향 김한솔 허웅 이준호 프로필 수상 일정
주관방사
2024. 7. 19. 20:15
파리 올림픽 출국 이틀 앞두고...男체조 김한솔, 부상에 울었다
-2024. 7. 16.
남자 기계체조의 맏형 김한솔(28·서울시청)이 파리 출국 이틀을 앞두고 불의의 부상으로 낙마,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이 무산됐습니다.
대한체조협회에 따르면 김한솔은 15일 충북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에서 도마 훈련 중 무릎을 크게 다쳤다. 16일 병원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결과 왼쪽 무릎 십자인대 파열, 왼쪽 무릎 측부인대 파열 진단을 받았다.
이에 대한체조협회는 병원 소견서와 진단서를 근거로 이날 경기력향상위원회를 급히 열어 안마 기대주인 허웅(24·제천시청)을 김한솔의 대체 선수로 파리 올림픽에 파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불의의 부상에 김한솔은 3회 연속 올림픽 출전의 꿈을 접게 됐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과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2회 연속 남자 마루운동을 석권한 김한솔은 류성현(21·한국체대)과 더불어 파리 올림픽 마루운동 메달 후보로 꼽혔습니다.
2020 도쿄 올림픽까지 8회 연속 올림픽 단체전 무대를 밟은 남자 기계체조는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파리 올림픽 단체전 출전 티켓을 놓쳐 김한솔과 이준호, 류성현 등 3명이 개인 자격으로 출전할 예정이었습니다.
지난 연말 팔꿈치에 웃자란 뼈를 깎아내는 수술을 받은 후 6개월 만에 기량을 회복해 올림픽에 전념해오던 김한솔의 낙마 소식이라 안타까움을 더했다.
남자와 달리 36년 만에 올림픽 단체전 출전권을 획득한 여자 기계체조 대표팀과 이준호, 류성현, 허웅은 17일 파리로 떠난답니다.
태극전사가 간다 ⑪ 체조 류성현·김한솔
-2024. 7. 11
2024 파리 올림픽 기계체조 남자 마루운동의 메달 후보인 김한솔(28·서울시청)과 류성현(21·한국체대)은 한국체대 7년 선후배 사이다.
김한솔은 2016 리우데자네이루, 2020 도쿄에 이어 세 번째로 올림픽 무대를 밟는다. 2021년에 열린 도쿄 올림픽에서 마루운동 4위에 오른 류성현도 2회 연속 올림픽에 출전한답니다.
한국 남자 체조가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올림픽 단체전 본선 출전권 획득에 실패한 뒤 류성현은 개인 자격으로 파리행의 문을 두들겨 국제체조연맹(FIG) 월드컵시리즈 랭킹 포인트 마루운동 1위로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도쿄 올림픽에서 FIG 심판들의 눈도장을 확실하게 찍은 류성현은 3년간 세계적인 기량을 유지해 이번에도 강력한 메달 후보로 손꼽힌다.
김한솔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마루운동을 연속 제패했습니다.
대한체조협회는 김한솔의 메달 획득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FIG가 국가올림픽위원회(NOC)에 할당하는 1장 몫의 주인공으로 김한솔을 낙점했다.
김한솔과 류성현은 8명이 겨루는 도쿄 올림픽 마루운동 결승에서 실력을 겨뤘다.
당시 류성현은 결승 진출자 중 가장 높은 난도 7.0의 기술을 펼치고도 0.3점의 감점을 받는 등 연기 수행 점수 7.533점에 그쳤다. 0.5점 차이로 동메달을, 0.7점 차이로 금메달을 놓쳤습니다.
김한솔은 난도와 수행 점수 모두 처져 최하위에 머물렀다.
김한솔과 류성현은 파리 올림픽을 앞두고선 6.6점짜리 기술 난도로 상향 조정했다. 이 종목 최상급 선수의 기술 난도가 6.8점인 것에 비춰보면 기술 점수에서는 밀릴 게 없습니다.
중요한 건 결승 당일 컨디션과 기술 수행 점수다. 도쿄 때처럼 실수로 낮은 점수에 그치면 메달은 날아간다.
한 발짝만 빗나가도 0.3점을 날리는 착지 동작에서 최대한 실수를 줄여야 한다. 정지 동작에서 미세한 움직임에도 점수를 깎는 종목 특성상 정확하고 완숙한 연기를 펼쳐야 우승에 가까워진다.
류성현은 "도쿄 올림픽에서는 아쉽게 4등을 했지만, 좋은 경험을 했다"며 "많은 국제대회에서 경험을 쌓았고, 이번에는 도쿄 때와는 다른 모습을 선보이고 싶다. 마루운동 시상대 꼭대기에 서겠다"고 당차게 금메달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지난 연말 웃자란 팔꿈치 뼈를 깎아내느라 수술대에 오르고도 6개월 만에 올림픽 출전권을 따낸 베테랑 김한솔은 "이제는 노련함으로 승부를 걸어 시상대에 꼭 서겠다"고 출사표를 올렸다.
메달 경쟁자로는 도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지난해 세계선수권 우승자인 아르템 돌고피아트(이스라엘)가 첫 손에 꼽힌다.
돌고피아트는 연기에서 거의 실수를 안 하고 높은 수행 점수를 챙기는 이 종목 스페셜리스트입니다.
올해 월드컵시리즈에서 6.8점의 최고난도 기술을 뽐낸 영국의 헤리 헵워스는 떠오르는 별이며, 도쿄 올림픽 5위이자 작년 세계선수권 동메달리스트 밀라드 카리미(카자흐스탄)는 복병이랍니다.